반응형
👨💻 안녕하세요, 윌리 프로젝트의 윌리 입니다.
언리얼 엔진에서 나나이트(Nanite)를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질문 >
언리얼 엔진에서 나나이트(Nanite)를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답변 >
언리얼 엔진 5에서 **나나이트(Nanite)**는 고해상도 3D 모델을 성능 저하 없이 효율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는 가상화된 지오메트리 시스템입니다. 나나이트를 활용하면 수십억 개의 폴리곤을 가진 고해상도 모델도 실시간으로 렌더링할 수 있어, 매우 사실적인 디테일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나나이트 활용 방법
- 나나이트 활성화된 프로젝트 생성:
- 언리얼 엔진 5에서 나나이트를 사용하려면 나나이트 기능이 활성화된 프로젝트를 설정해야 합니다. 나나이트는 프로젝트 설정에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나나이트를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 나나이트 활성화된 메쉬 사용:
- 나나이트는 Static Mesh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Skeletal Mesh나 동적 메쉬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 Static Mesh Editor에서 나나이트를 활성화하려면, 해당 메쉬를 선택한 후 나나이트 옵션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 메쉬 에디터의 Details 패널에서 Enable Nanite Support 옵션을 체크하면 됩니다.
[Static Mesh Editor] > Details > Nanite Settings > Enable Nanite Support
- LOD 관리 불필요:
- 나나이트는 자동으로 LOD(Level of Detail)를 생성하여, 화면 내 카메라 거리와 물체의 화면 내 크기에 따라 폴리곤 수를 조정합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LOD를 설정할 필요 없이 나나이트가 자동으로 디테일 수준을 최적화합니다.
- 이로 인해 복잡한 메쉬에서도 수동 LOD 설정 없이 높은 성능과 디테일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나나이트 설정 최적화:
- 나나이트는 기본 설정으로 대부분의 상황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지만, 특정 프로젝트나 메쉬에 맞춰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Fallback Percent Triangles 등의 설정을 통해 화면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의 삼각형 수를 조절하거나, Position Precision으로 좌표의 정밀도를 조정하여 성능을 더욱 세밀하게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렌더링 품질과 성능 테스트:
- 나나이트 활성화 후, 프로젝트 내에서 메쉬가 어떻게 렌더링되는지 테스트해 봅니다. 특히 성능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프레임 속도와 렌더링 품질을 확인하며 최적의 나나이트 설정을 조정합니다.
- Nanite Visualization 모드를 사용하여, 나나이트가 적용된 메쉬의 디테일과 LOD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드는 Viewport 상단의 View Mode에서 "Nanite Visualization"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조명과 그림자 설정:
- 나나이트는 기본적으로 정적인 조명과 잘 호환되며, Lumen을 통해 전역 조명과 반사 효과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나나이트 메쉬에 그림자를 추가하거나 전역 조명을 사용할 경우, 프로젝트 설정에서 Lumen을 활성화하면 더욱 사실적인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나나이트 활용 시 주의사항
- 메모리 사용량: 나나이트 메쉬는 높은 메모리를 요구할 수 있으므로, 나나이트를 사용할 메쉬는 가능한 고해상도 모델로 한정하고, 필요에 따라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 동적 변형 제한: 나나이트는 Static Mesh에만 적용되므로, Skeletal Mesh나 애니메이션 메쉬와 같은 동적 객체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메쉬 준비: 나나이트를 사용하려면 모델링 소프트웨어(블렌더, 마야 등)에서 고해상도로 생성된 정적 메쉬 파일(FBX)을 사용해야 합니다.
나나이트를 사용하면 언리얼 엔진 5에서 사실적인 고해상도 3D 모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성능 저하 없이 고품질의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유튜브 채널 🎬
🎬 치지직 채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