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탐구생활

🎶 [드럼] 드럼에서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은 무엇이며,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을 잘 연주하기 위한 연습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by 밝음의기둥 2024. 10. 30.
반응형

🎶 안녕하세요, 윌리 프로젝트의 윌리 입니다.

드럼을 취미로 배우고 있는데,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을 배웠습니다. 연주 소리나 연주 모습이 완전 간지나더군요. 그런데, 초보자 입장에서는 참 어렵고 오랜 기간 연습을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았습니다.


질문 >

드럼에서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은 무엇이며,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을 잘 연주하기 위한 연습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이란?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은 발판(페달)을 이용해 하이햇 심벌을 여닫으면서 다양한 소리를 내는 드럼 연주 기법입니다. 하이햇은 기본적으로 두 장의 심벌이 상하로 맞물려 있으며, 발로 페달을 누르는지 여부에 따라 소리의 길이와 성격이 달라집니다.

  • 오픈 하이햇: 발을 떼어 하이햇 심벌이 열리면, 길고 지속적인 소리가 납니다. 록과 펑크 등의 강렬한 부분에서 사용됩니다.
  • 클로즈 하이햇: 발로 페달을 밟아 심벌을 닫고 치면, 짧고 타이트한 소리가 납니다. 대부분의 기본 리듬 연주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치고 닫기(Chick Sound): 하이햇을 오픈 상태에서 치고, 즉시 발로 닫아 짧은 '짹' 소리를 내는 주법입니다. 재즈, 펑크 등 다양한 스타일에서 활용됩니다.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을 잘 연주하기 위한 연습 방법

  1. 메트로놈과 기본 리듬 연습
    • 메트로놈에 맞춰 오픈과 클로즈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정확한 타이밍을 연습하세요.
    • 예시:
      • 4/4 박자 기준 1, 2, 3, 4 비트에 하이햇을 닫고, 매 2, 4 박자마다 오픈합니다.
  2. 발과 손의 독립성 훈련
    • 하이햇 페달을 사용하면서 손으로 스네어나 탐탐을 동시에 연주합니다.
    • 예시:
      • 스네어와 하이햇을 번갈아 치는 동안, 발로 하이햇을 일정하게 열고 닫아보세요.
      • 1, 3 비트에서 닫기, 2, 4 비트에서 열기 연습.
  3. 오픈 & 클로즈 조절 연습
    • 하이햇을 완전히 열고 닫는 것뿐만 아니라 **약간 열리는 소리(half-open)**도 연습합니다.
    • 이 연습은 리듬에 다양한 뉘앙스를 부여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4. 오픈된 하이햇에서의 연속 연주
    • 하이햇을 열린 상태에서 여러 번 연타하는 연습을 통해 연속적인 리듬을 다듬습니다.
    • 예시: 후렴구에 오픈된 하이햇으로 강렬한 리듬을 연습해보세요.
  5. 다양한 음악에 적용하기
    • 재즈, 록, 펑크 등의 음악에 맞춰 오픈과 클로즈 주법을 자유롭게 사용해보세요.
    • 예시: 재즈에서는 2, 4 박자에 하이햇을 클로즈하며 리듬을 유지합니다.

연습 팁과 주의사항

  • 발 컨트롤 강화: 페달을 밟는 압력과 속도를 조절해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보세요.
  • 리듬 유연성 연습: 다양한 리듬 패턴에서 하이햇 오픈과 클로즈를 자유롭게 연습합니다.
  • 녹음해 피드백 받기: 자신의 연주를 녹음하여 타이밍과 리듬이 정확한지 점검합니다.

하이햇 오픈 & 클로즈 주법은 리듬의 깊이와 다이내믹을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꾸준한 연습을 통해 타이밍과 발 컨트롤을 익히면, 다양한 곡에서 창의적이고 유연한 연주가 가능해집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유튜브 채널 🎬

 

위로그@WiLog

📢 안녕하세요, 위로그@WiLog 시청자 여러분, 저는 윌리 입니다. 📢 위로그@WiLog 는 자기주도학습을 목적으로 라이브 스트리밍을 합니다. 📢 1인 게임 개발을 목표로 Unreal과 Blender를 학습 중입니

www.youtube.com

🎬 치지직 채널 🎬

 

위로그 채널 - CHZZK

지금, 스트리밍이 시작됩니다. 치지직-

chzzk.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