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 [AWS] AWS 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리눅스 서버에 저장장치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by 밝음의기둥 2025. 3. 6.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윌리 프로젝트의 윌리 입니다.

AWS 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리눅스 서버에 저장장치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질문 >

AWS 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리눅스 서버에 저장장치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

AWS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리눅스 서버에 저장장치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옵션은 Amazon EBS (Elastic Block Store), Amazon EFS (Elastic File System), 그리고 Amazon S3 (Simple Storage Service) + S3FS/FUSE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1. Amazon EBS (Elastic Block Store) 사용하기

EBS는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마치 일반적인 디스크처럼 작동합니다.

📌 EBS를 리눅스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

  • EBS 볼륨 생성
    • AWS 콘솔에서 EC2 → 볼륨 → 볼륨 생성을 클릭합니다.
    • 적절한 크기와 유형(예: GP3, IO1 등)을 선택합니다.
    • 해당 볼륨을 EC2 인스턴스가 있는 가용 영역(AZ)에 맞춰 생성합니다.
  • EC2 인스턴스에 EBS 볼륨 연결
    • EC2 → 볼륨 선택 → "작업" → "볼륨 연결"
    • 대상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장치명(/dev/xvdf 등)을 확인합니다.
  • 리눅스에서 볼륨 마운트
lsblk  # 연결된 블록 디바이스 확인
sudo mkfs -t ext4 /dev/xvdf  # 파일 시스템 생성
sudo mkdir /mnt/ebs
sudo mount /dev/xvdf /mnt/ebs
df -h  # 마운트 확인

  • 영구 마운트 설정 (재부팅 시 자동 마운트)
echo "/dev/xvdf /mnt/ebs ext4 defaults,nofail 0 2" | sudo tee -a /etc/fstab


2. Amazon EFS (Elastic File System) 사용하기

EFS는 여러 EC2 인스턴스에서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파일 스토리지(NFS)입니다.

📌 EFS를 리눅스 서버에 마운트하는 방법

  • EFS 파일 시스템 생성
    • AWS 콘솔에서 EFS → 파일 시스템 생성
    • 네트워크 설정에서 EC2와 같은 VPC 및 서브넷을 선택
  • EC2에서 EFS 클라이언트 설치
sudo yum install -y amazon-efs-utils  # Amazon Linux, CentOS
sudo apt install -y amazon-efs-utils  # Ubuntu

  • EFS 마운트 수행
sudo mkdir /mnt/efs
sudo mount -t efs fs-xxxxxxxx:/ /mnt/efs
df -h  # 마운트 확인

  • 재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
echo "fs-xxxxxxxx:/ /mnt/efs efs defaults,_netdev 0 0" | sudo tee -a /etc/fstab


3. Amazon S3 + S3FS/FUSE 사용하기

S3는 객체 스토리지로, 직접 마운트할 수는 없지만, s3fs를 이용하면 파일 시스템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3를 리눅스 서버에 마운트하는 방법

  • S3FS 설치
sudo yum install -y fuse
sudo yum install -y s3fs-fuse  # Amazon Linux
sudo apt install -y s3fs       # Ubuntu

  • IAM 사용자 액세스 키 생성
    • AWS IAM에서 새 사용자 생성 → 액세스 키(ID & Secret) 발급
    • 아래 파일에 저장 (~/.passwd-s3fs)
echo "ACCESS_KEY_ID:SECRET_ACCESS_KEY" > ~/.passwd-s3fs
chmod 600 ~/.passwd-s3fs

  • S3 버킷 마운트
sudo mkdir /mnt/s3
s3fs my-bucket-name /mnt/s3 -o use_cache=/tmp -o allow_other
df -h  # 마운트 확인

  • 자동 마운트 설정
echo "s3fs#my-bucket-name /mnt/s3 fuse _netdev,allow_other,use_cache=/tmp 0 0" | sudo tee -a /etc/fstab


🔥 어떤 스토리지를 선택해야 할까?

스토리지  특징  사용 사례
EBS 블록 스토리지, 단일 인스턴스 전용 EC2의 기본 저장소 (OS, DB)
EFS NFS 기반, 다중 인스턴스에서 공유 가능 여러 서버가 같은 파일 사용
S3 + S3FS 객체 스토리지, HTTP 기반 백업, 로그 저장, 정적 콘텐츠

EBS: 단일 EC2에서 쓰는 경우

EFS: 여러 EC2에서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S3FS: 대용량 데이터 저장이 필요하지만 파일 시스템처럼 쓰고 싶은 경우

필요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 유튜브 채널 🎬

 

위로그@WiLog

📢 안녕하세요, 위로그@WiLog 시청자 여러분, 저는 윌리(Willee) 입니다. 📢 위로그@WiLog 는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채널 입니다. 📢 오늘도 즐겁게~ 자신을 위한 계발을 함께 해보아요~ d^_^b 📌

www.youtube.com

🎬 치지직 채널 🎬

 

위로그 채널 - CHZZK

지금, 스트리밍이 시작됩니다. 치지직-

chzzk.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