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윌리 프로젝트의 윌리 입니다.
AWS 에서 Route 53 서비스의 호스팅 영역과 레코드 란 무엇인지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질문 >
AWS 에서 Route 53 서비스의 호스팅 영역과 레코드 란 무엇인가요?
답변 >
AWS Route 53은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관리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에서 도메인 이름을 관리할 때 호스팅 영역(Hosted Zone) 과 레코드(Record) 개념이 중요합니다.
1️⃣ 호스팅 영역 (Hosted Zone)
호스팅 영역은 특정 도메인의 DNS 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컨테이너입니다.
🔹 예를 들어, example.com 도메인을 AWS에서 관리하려면
example.com에 대한 호스팅 영역을 Route 53에서 생성해야 합니다.
✅ 호스팅 영역 종류
- 퍼블릭 호스팅 영역 (Public Hosted Zone)
-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는 도메인을 위한 호스팅 영역
- 예: example.com을 AWS Route 53에서 관리하는 경우
- 도메인을 인터넷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
-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Private Hosted Zone)
- AWS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도메인을 위한 호스팅 영역
- 예: VPC 내부 서비스에서 internal.example.com 같은 내부 도메인 사용
-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고, 오직 AWS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
2️⃣ 레코드 (Record)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또는 다른 리소스를 연결하는 규칙입니다.
즉, 도메인 이름을 사용자가 원하는 서버(IP 주소)로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예를 들어, example.com 도메인을 특정 웹 서버 IP 192.168.1.1에 연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A 레코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도메인 | 유형 | 값 |
example.com | A | 192.168.1.1 |
✅ 주요 레코드 유형
- A 레코드 (IPv4 주소 매핑)
- 도메인을 IPv4 주소와 연결
- 예: example.com → 192.168.1.1
- AAAA 레코드 (IPv6 주소 매핑)
- 도메인을 IPv6 주소와 연결
- 예: example.com → 2001:db8::ff00:42:8329
- CNAME 레코드 (다른 도메인으로 매핑)
- 별칭(Alias)을 만들 때 사용
- 예: www.example.com → example.com
- MX 레코드 (메일 서버 정보)
- 이메일을 수신할 메일 서버 지정
- 예: example.com → mail.example.com
- TXT 레코드 (텍스트 정보 저장)
- SPF, DKIM, DMARC 같은 이메일 인증 설정
- 도메인 검증, AWS 서비스 연결 등에 사용
- 예: example.com → "v=spf1 include:_spf.google.com ~all"
- NS 레코드 (네임서버 정보)
- 도메인의 DNS 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
- Route 53에서 생성된 호스팅 영역은 자동으로 NS 레코드를 포함함.
- SRV 레코드 (서비스 지정)
- 특정 서비스(예: SIP, XMPP 등) 연결을 위한 레코드
- PTR 레코드 (역방향 DNS 조회)
- IP 주소를 도메인으로 변환 (Reverse DNS Lookup)
- 일반적인 도메인 설정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3️⃣ 예제: Route 53에서 도메인 설정
🔹 목표: example.com을 AWS S3 및 CloudFront에 연결
도메인 | 레코드 유형 | 값 |
example.com | A | CloudFront 배포 주소 |
www.example.com | CNAME | example.com |
mail.example.com | MX | 10 mail.example.com |
example.com | TXT | "v=spf1 include:_spf.google.com ~all" |
➡️ 설정 완료 후, 사용자는 example.com을 입력하면 CloudFront로 접속 가능! 🎯
📌 결론
✅ 호스팅 영역 = 도메인 관리 컨테이너
✅ 레코드 = 도메인을 특정 리소스(IP, 서버 등)와 연결하는 설정
✅ Route 53을 사용하면 웹사이트, 이메일, 클라우드 서비스 설정을 쉽게 구성 가능 🚀
🎬 유튜브 채널 🎬
위로그@WiLog
📢 안녕하세요, 위로그@WiLog 시청자 여러분, 저는 윌리(Willee) 입니다. 📢 위로그@WiLog 는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채널 입니다. 📢 오늘도 즐겁게~ 자신을 위한 계발을 함께 해보아요~ d^_^b 📌
www.youtube.com
🎬 치지직 채널 🎬
위로그 채널 - CHZZK
지금, 스트리밍이 시작됩니다. 치지직-
chzzk.naver.com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AWS 에서 S3 Select에 의해 스캔된 데이터 란 무엇인가요? (2) | 2025.04.02 |
---|---|
👨💻 [AWS] AWS 에서 S3 Select에 의해 반환된 데이터 란 무엇인가요? (0) | 2025.04.02 |
👨💻 [AWS] AWS 에서 Route 53 서비스의 트래픽 흐름 이란 무엇인가요? (0) | 2025.04.02 |
👨💻 [AWS] AWS 의 S3 서비스에 업로드되어 있는 파일을 대상으로 각 파일 별로 Pre Signed URL을 동시에 몇개까지 생성 가능한가요? (0) | 2025.04.01 |
👨💻 [AWS] AWS 의 S3에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하도록 클라이언트를 구현하는데, 개인 도메인을 S3 저장소와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0) | 2025.04.01 |